스탠 와인스타인의 'Secrets for Profiting in Bull and Bear Market'에서 소개된 RS.
개념은 소개되었지만, 구체적 지표화 방법은 나와있지 않다.
1년(52주 또는 200일) 기준으로 오실레이터처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대강도 지표(Relative Strength Indicator) 만드는 법
스탠 와인스타인의 기법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는,
S&P 500 지수, 섹터 혹은 다른 종목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퍼포먼스(Relative Performance)를 활용하는 것이다.
그의 책에서는 이를 상대강도(Relative Strength)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이는 흔히 알려진 RSI(Relative Strength Index, J. 웰스 와일더가 개발한 지표)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RSI는 단일 종목의 가격 변동 속도와 변화를 측정하는 모멘텀 오실레이터이다.
그래서 이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우리가 다루는 상대강도를 ‘Relative Performance(상대적 퍼포먼스)’로 명명한다.
와인스타인은 그의 책에서 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특정 주식(또는 그룹)이 전체 시장 대비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XYZ 주식이 10% 상승했지만 시장은 20% 상승했다면,
주가가 상승했어도 상대강도는 약한 것이다.
반대로 XYZ 주식이 10% 하락했지만 시장 평균이 20% 하락했다면,
주가는 떨어졌어도 상대강도는 강한 것이다.
상대강도 측정 공식은 단순히
특정 주식의 가격(또는 그룹 평균)을 시장 평균 가격으로 나눈 것이다.”
상대 퍼포먼스 지표
Stage Analysis 웹사이트에서는 두 가지 방식으로 상대 퍼포먼스를 차트에 나타낸다.
https://www.stageanalysis.net/
1. 첫 번째 방식은 많은 사람들이 책에서 본
맨스필드 상대강도 지표(Mansfield Relative Strength Indicator, MRP) 이다.
2. 두 번째 방식은 단순히 종가를 기준 지수(대부분 S&P 500)로 나눈
기본 상대 퍼포먼스 지표(Standard Relative Performance, RP) 이다.
이 두 지표는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표현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1. 맨스필드 지표(MRP)는 52주 이동평균을 평탄화한 제로 라인을 중심으로 한 오실레이터 형태이기 때문에
극단값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쉬움.
2. 기본 상대 퍼포먼스 지표(RP)는 52주 이동평균의 기울기를 보여주며,
장기적인 상대 성과에 대한 힌트를 제공함.
계산 공식
① 기본 상대 퍼포먼스 지표 (Standard RP)
RP = (종목 종가 / 기준지수 종가) * 100
그리고 여기에 52주 이동평균을 추가하여 제로 라인을 설정한다.
② 맨스필드 상대 퍼포먼스 지표 (MRP)
MRP = (( RP(today) / SMA(RP(today), n)) - 1 ) * 100
- RP(today): 오늘의 기본 상대 퍼포먼스 값
- SMA: 단순 이동평균 (n일 기준)
- n: 주간 차트에서는 52, 일간 차트에서는 200 사용
즉, 정리하면:
MRP = ((오늘의 기본 상대 퍼포먼스) ÷ (오늘의 52주 이동평균)) - 1) × 100
이 공식들을 통해 투자자는 개별 종목이 시장 대비 강한 흐름을 보이는지,
약한 흐름을 보이는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스탠 와인스타인의 4단계 매매 전략에서 Stage 2(강세 국면) 종목을 찾는 데 매우 유용하다.
'Jangineer's 트레이딩 - 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탠 와인스타인의 트레이더와 투자자를 위한 명언들 (0) | 2025.05.04 |
---|---|
우라가미 구니오 '주식시장 흐름 읽는 법' +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달걀' (3) | 2025.05.04 |
산업, 기업 분석 - 마이클 포터, 필립 피셔, 윌리엄 오닐, 마크 미너비니 (0) | 2025.05.04 |
[Giant 7] 스탠 와인스타인 - "Secrets for Profiting in Bull and Bear Market" (0) | 2025.05.04 |
[Giant 1] 찰스 다우 - 다우 이론 (3)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