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경 제50장,
노자가 삶과 죽음, 그리고 도(道)를 깨달은 자의 삶의 태도에 대해 말하는 장이다.
짧지만 굉장히 강렬한 내용으로,
죽음을 초월한 삶의 자세, 무심과 담담함, 운명을 두려워하지 않는 도인(道人)의 모습이 담겨 있다.
원문 · 한글 발음 · 해석
出生入死。
(출생입사)
삶은 태어나는 것이고, 죽음은 들어가는 것이다.
生之徒十有三,死之徒十有三;人之生,動之死地,亦十有三。
(생지도 십유삼, 사지도 십유삼; 인지생, 동지사지, 역십유삼)
사는 자도 열셋, 죽는 자도 열셋, 살아 있는 자 중에도 죽음에 이르는 자가 열셋이다.
→ 삶을 향한 움직임이 오히려 죽음을 불러오는 경우도 많다.
※ 여기서 13 이라는 숫자 자체보다 중요한 건, 삶과 죽음의 경계에 있는 자들이 매우 많다는 상징적 표현이다.
夫何故?以其生生之厚。
(부하고? 이기생생지후)
왜 그런가? 살아가려는 집착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蓋聞善攝生者,陸行不遇兕虎,入軍不被甲兵。
(개문선섭생자, 륙행불우사호, 입군불피갑병)
들으니, 삶을 잘 다스리는 자는 들판을 걸어도 범이나 호랑이를 만나지 않고,
전쟁터에 나가도 무기나 병사에게 해를 입지 않는다.
兕無所投其角,虎無所措其爪,兵無所容其刃。夫何故?以其無死地。
(사무소투기각, 호무소조기조, 병무소용기인. 부하고? 이기무사지)
왜냐하면 범도 그에게 뿔을 들이댈 곳이 없고, 호랑이도 발톱을 쓸 곳이 없으며, 병기의 칼도 찌를 틈이 없다.왜 그런가? 그는 죽을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핵심 메시지 요약
1. 삶과 죽음은 자연의 흐름이다
“출생입사 – 태어남은 나오고, 죽음은 들어감이다.”
→ 삶과 죽음은 동전의 양면이며,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다.
2. 죽음을 부르는 건 생에 대한 집착이다
“生生之厚 – 살고자 하는 욕망이 두터울수록”
→ 오히려 더 많이 움직이고, 더 많이 움켜쥐려는 사람이 죽음에 가까워진다.
3. 도(道)를 아는 자는 죽음을 피하지 않고 초월한다
- 그는 범도 공격하지 않고,
- 전쟁터에서도 해를 입지 않는다.
왜냐하면…
“무사지(無死地)” – 그는 죽을 틈, 죽을 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 이는 곧 두려움이 없고, 집착이 없으며, 자연의 흐름에 따라 담담하게 살아가는 자의 경지다.
삶에 비춰본 도(道)
투자
- 수익에 대한 지나친 집착, 손실 회피의 과도한 방어, 움켜쥐려는 불안이 오히려 크게 잃는 원인이 된다.
→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는, 자신의 시스템과 흐름을 신뢰하고 두려움 없이 따라가는 자다.
골프
- 스코어, 경쟁, 완벽한 샷에 집착할수록 몸이 굳고, 실수가 잦아진다.
→ 힘을 빼고 흐름에 맡기면, 오히려 실수가 줄고 결과는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삶과 죽음
-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만이 진정 자유롭게 살아간다.
→ 그는 삶을 움켜쥐지 않고, 삶과 죽음을 하나의 흐름으로 받아들인다.
나에게 질문
- 나는 지금 살고자 하는 집착에 매달려 오히려 삶을 흐트러뜨리고 있진 않은가?
- 나는 무심과 무사(無事)의 상태로 자연스럽게 흐르며 살아가고 있는가?
- 오늘 하루,
‘죽을 자리가 없는 사람’처럼 담담하게 선택할 수 있는 행동은 무엇인가?
“삶은 흐름이고, 죽음은 그 흐름의 일부다.
도를 아는 자는 살고자 하지 않고, 죽음을 피하지도 않는다.그래서 그는 죽을 자리가 없다.”
'고전 한줄 - 관리,통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경 제51장 – 도는 낳고, 덕은 기른다 (2) | 2025.07.30 |
---|---|
도덕경 제49장 – 성인은 고정된 마음이 없다 (2) | 2025.07.28 |
도덕경 제48장 – 덜고 또 덜어야 도에 이른다 (2) | 2025.07.25 |
도덕경 제47장 – 밖을 보지 않고도 세상을 안다 (2) | 2025.07.24 |
도덕경 제46장 – 욕망이 클수록 나라가 어지럽다 (1)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