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리는 수익률이 아니라 비중 조절의 예술이다.”
진짜 수익은 맞힐 확률이 아니라, 맞았을 때 얼마나 키웠느냐로 결정된다.
많은 투자자들이 좋은 종목을 찾고, 좋은 타점을 찾는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비중을 소홀히 한다.
투자의 진짜 실력은, 비중을 어디에, 얼마나 실을지를 아는 데 있다.
'복리 수익 = 수익률 × 비중' 구조
단순 연 수익률은 의미 없다.
복리는 다음 두 축이 있어야 작동한다:
- 승률 × 기대수익률 (즉, R-multiple 구조)
- 비중의 배분과 확대/축소 전략
이때 비중이란,
“내 전략에 따라 시장에 얼마나 베팅할 것인가?”
이걸 잘못하면,
- 아무리 좋은 타점도 효과가 미미하고
- 아무리 좋은 전략도 수익이 안 쌓이며
- 아무리 살아남아도 ‘계속 제자리’에 머문다
비중 조절의 기본 철학: 리스크는 작게, 수익은 키우며
1) 진입 시 비중은 최소한으로
- 처음부터 확신을 가지면 안 된다
- 1차 진입: 3~5%
- 트리거 발생 시: 5~10% 추가
- 이후 추세 확인 후 최대 15%까지 확대
→ 이는 미너비니, CIS, 오닐 등 모든 추세추종자의 공통 원칙이다.
2) 비중 확대는 반드시 수익 상태에서만
- 물타기가 아니라, 수익 중 피라미딩
- 즉, 이기는 포지션만 키우는 구조
진입이 맞았다는 것이 시장으로부터 검증된 후에만 비중을 높여야 한다.
실전 예시 – 1R 기준으로 비중 조절하기
- 총 자금: 5억
- 1R: 1% = 500만 원
- 종목 A 진입
- 1차 진입: 3% (1,500만 원)
- 손절 기준: -10% → 손실 시 -150만 원 = 0.3R
- 주가 +10% 돌파, 거래량 증가 → 2차 진입: 5% (2,500만 원)
- 주가 +20% → 3차 진입: 7% (3,500만 원)
- 총 비중: 15%, 평균 단가 상승
이익을 바탕으로 비중을 키웠기 때문에,
계좌 전체 리스크는 여전히 1R 이내, 수익은 3R, 5R, 8R로 복리 누적이 가속된다.
비중 조절의 반대: 분산 중독, 감정 매매
비중 전략이 없으면 다음과 같은 일이 생긴다:
- 모든 종목에 비슷한 금액 → 강한 흐름이 와도 수익 미미
- 손절 없이 홀딩 → 수익은 줄고 손실은 복리화
- 상승 중 분할 매도 → 오히려 이기는 포지션은 줄고, 진 포지션만 남음
결국 수익은 쌓이지 않고, 전략은 ‘그때그때 달라요’가 된다.
비중 조절은 자기 전략의 신뢰 수준과 연결되어야 한다
전략 상태 | 비중 운용 방식 |
신뢰 초기 | 소규모 테스트 (1~3%) |
데이터/백테스트 확보 | 5~10% 단위 운영 |
실전 반복성과 승률 확보 | 10~15%까지 탄력적 확대 |
변동성 급증 or 시장 불확실 | 비중 축소 + 종목 수 제한 |
→ 전략 신뢰도와 심리 안정성 사이의 균형이 핵심이다.
수익률이 아니라, 비중 전략이 복리를 만든다
많은 사람들이 묻는다:
“어떤 종목이 좋나요?”
“어디서 사야 하나요?”
그러나 진짜 질문은 이거다:
“얼마나 사고, 언제 더 사고, 언제 줄일 것인가?”
복리는 확률이 아니라 구조의 결과다.
그 구조의 핵심은 비중 조절이다.
- 이기는 포지션만 키우고,
- 틀린 포지션은 자르며,
- 전체 계좌의 리스크를 1R 이내로 통제할 수 있다면,
복리는 반드시 작동한다.
'Jangineer's 트레이딩 - 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 시장이 돌아가는 판의 구조 – 그들은 어떻게 미리 움직이는가? (1) | 2025.07.16 |
---|---|
자본 시장이 돌아가는 판의 구조 - 'cis의 주식투자 법칙' (3) | 2025.07.16 |
[리스크] 수익곡선이 아니라, 리스크 곡선을 보라 – 진짜 전략은 ‘버티는 힘’에서 나온다 (0) | 2025.07.15 |
[리스크] 최대 낙폭(MDD)이 당신의 전략을 죽인다 – 마법은 복구율에서 깨진다 (0) | 2025.07.15 |
[리스크] 게임은 이겨도, 계좌는 망할 수 있다 – 파산 확률의 함정 (1)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