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력을 디자인하라 3 – 미루기의 정체는 ‘감정’이다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2025. 6. 18. 14:29
“미루기는 게으름이 아니다. 감정 회피다.”
– Timothy A. Pychyl, '지금 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는가'왜 우리는 미루는가?
우리는 어떤 일을 안 하기로 결정해서 미루는 게 아니다.
그 일과 관련된 불쾌한 감정을 피하려고 무의식적으로 도망치는 거다.예를 들어:
- 투자일지를 안 쓰는 이유? → "오늘 손실이 커서 기록하고 싶지 않아"
- PT 발표 준비를 미루는 이유? → "잘 못하면 망신당할까 봐..."
- 골프 연습을 미루는 이유? → "어제 폼이 너무 망가져서 오늘도 그러면 어쩌지..."
결국, 일이 아니라 감정을 피하는 중이다.
이럴 때 필요한 태도
질문 감정 인식 중심 질문 전략 지금 미루고 있는가? "이 일을 왜 하고 싶지 않을까?" 감정을 글로 적어보라 왜 불쾌한가? "이 감정이 어떤 신호일까?" 감정을 회피하지 말고 분해하라 어떻게 시작할까? "1분만 해보자" 시작만으로도 감정은 잦아든다 투자자/실천가를 위한 인사이트
- 미루기의 본질은 감정 회피 → 전략은 감정 인식 → 행동 분해
- 투자 일지, 손절 복기, 백테스트 분석 등 감정이 섞이는 작업일수록 회피 본능이 강함
- 하지만 진짜 성장은 그 감정을 ‘직면’할 때 온다
나에게 질문
“지금 미루고 있는 일은 어떤 감정을 동반하고 있는가?”
“그 감정을 회피하는 대신, 1분만 해보자”'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니얼 골먼 '감성지능 EQ' 1: Emotion(감성, 감정) 이란? (0) 2025.06.22 '생각에 관한 생각'과 '감성지능' 비교: 과학으로 돌아본 고전의 지혜 (7) 2025.06.22 노력을 디자인하라 2 - 습관은 의지를 대체할 수 있는가? (0) 2025.06.13 노력을 디자인하라 1 - 의지력은 고갈되는가? (0) 2025.06.11 '마인드 파워' 홀로그램의 나, '반야심경' 오온의 나 (2) 2025.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