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개적 협의와 책임자의 결단 –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납득은 가능하다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2025. 7. 17. 17:09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상황은 조직이든, 사회든, 정치든 피할 수 없다.
이럴 때 가장 비효율적인 방식은 일방적인 결정, 혹은 밀실에서의 조정이다.
반대로 가장 합리적인 방식은 공개적인 협의를 통해 각자의 입장을 드러내고,
상식과 원칙이라는 공공의 틀 안에서 갈등의 범위를 좁히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책임자가 결단을 내리는 구조가 필요하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5급 신임 간부들과의 간담회에서 한 말이 있다.
“이해충돌이 발생하면, 당사자들이 모여 공개적으로 협의하고, 마지막엔 책임자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
겉보기에는 상식적인 말 같지만, 실제 조직 운영의 핵심 원리를 정확히 짚은 발언이다.
나는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왜냐하면 이 구조는 민주성과 효율성, 절차의 정당성과 결과의 실행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해충돌은 숨기지 말고, 드러내야 한다
이해가 충돌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문제는 충돌 자체가 아니라,
그 충돌을 숨기고 뒤에서 움직이려 할 때 발생한다.
갈등은 일찍, 공개적으로 다뤄야 한다.
그래야 사익이 공익을 위장하는 일을 막을 수 있고, 의사결정이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공개적 협의는 상식과 원칙을 중심에 두게 한다
공개된 자리에서는 비상식적인 주장이나 노골적인 이기주의를 고집하기 어렵다.
공개적으로 말하는 순간,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공공의 시선’을 의식하게 되고,
자신도 모르게 상식의 틀 안에서 사고하고 말하게 된다.
토론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수확은 ‘완전한 합의’가 아니라, 의견의 범위를 좁히는 것이다.
결국 각자의 입장이 아니라,
공공의 선(common good)이나 조직의 원칙이라는 기준이 중심에 서게 된다.
최종 결단은 책임자가 내려야 한다
합의를 통해 범위는 좁혀졌지만, 최종 선택은 누군가가 해야 한다.
모두를 만족시키는 결정은 없다.
그래서 책임자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
단, 그 결정은 충분한 협의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비록 일부는 불만일지라도 대부분은 납득하게 된다.
사람들은 자신의 요구가 모두 반영되지 않아도 분노하지 않는다.
하지만 절차가 불공정했다고 느끼면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결국 납득 가능한 결정은 정당한 절차에서만 나온다.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모두가 납득하게 할 수는 있다
이 구조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개 협의로 상식의 틀을 만들고, 책임자가 결단한다.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모두가 납득할 수는 있다.
정책 결정, 조직 운영, 회의 문화, 리더십… 어느 영역에든 적용되는 원칙이다.
민주주의란 모두의 만족을 만드는 게 아니라, 모두의 납득을 만드는 기술이다.
이 말을 명심하면 갈등은 대립이 아니라, 발전을 위한 동력으로 바뀐다.'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버트 치알디니 '설득의 심리학' - 어떻게 YES를 이끌어내는가? (2) 2025.07.18 갈등 해결 프로세스 – 상식과 원칙의 틀 안에서 납득 가능한 결론에 이르는 구조 (0) 2025.07.17 나와 인간을 이해하는 실용지능의 네 갈래 – 공생을 위한 심리 지도 (4) 2025.07.17 [忍 마무리] 감정과 이성의 조화는 훈련의 결과다 – 멈춤, 관찰, 전환의 전략 (2) 2025.07.14 [忍] 감정을 타고 이성이 방향을 잡는다 – '행복의 가설'과 코끼리와 기수 (0) 202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