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 실패점 · 매몰비용 · 물타기의 치명적 연결고리
시작은 “그거 하나만 잘 되면 된다”는 착각
처음엔 단단해 보인다.
하나의 직장, 하나의 전략, 하나의 관계.
그러나 모든 힘을 한 지점에 집중하면 그 지점이 곧 약점이다.
IT 시스템이 서버 한 대로만 돌아갈 때처럼, 삶도 그렇게 위태롭다.
단일 실패점 – 구조적 취약성
- 정의: 하나만 삐끗해도 모두가 멈추는 구조.
- 예시
- 월급 외엔 수입이 없다.
- 투자를 한 종목에 몰빵한다.
- 가족·직장 외엔 인맥이 없다.
- 문제: 버텨줄 두 번째 줄이 없다.
매몰비용 – 과거가 현재를 질식시키는 심리
이미 들인 돈·시간·노력을 아까워해 판을 떠나지 못한다.
“여기까지 왔는데 포기해?”
“손해 확정? 차라리 더 넣어서 만회하자.”
결국 과거의 비용이 미래의 판단을 갉아먹는다.
물타기 – 손실을 덮으려다 더 깊이 빠지는 행동
투자에서 손실이 나면 평단 낮추려고 추가 매수(물타기)를 한다.
- 종목이 내려갈 수록 자금은 더 묶인다.
- 빠져나올 자유도가 사라진다.
- 결국 단일 실패점+매몰비용이 완성된다.
세 요소가 한 회로로 이어질 때
- 몰빵 → 단일 실패점
- 손실 → 매몰비용 발생
- 물타기 → 실패점에 더 집중
- 탈출 불능 → 구조적 붕괴
실패가 아니라 스스로 실패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빠져나오는 방법
해야 할 일 | 핵심 행동 |
줄을 나눠 잡기 | 수입·관계·기술·자산을 여러 갈래로 분산 |
과거와 결별하기 | 넣은 돈·시간은 회수 불가, “지금” 기준으로 남은 가능성만 계산 |
손실을 덮지 말고 잘라내기 | 물타기 대신 손절·전략 교체·판 전환 |
여유 공간 확보 | 현금, 시간, 정신적 버퍼를 상시 유지 |
단일 실패점은 구조의 문제,
매몰비용은 심리의 문제,
물타기는 행동의 문제다.
셋이 얽히면 빠져나오기 어렵다.
과거를 접고 여유 줄을 늘리는 것이 유일한 해법이다.
투자를 예로 들었지만 인생도 다르지 않다.
'Jangineer's 길(道) - 실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책? - 인생을 바꾼 건 책이 아니라, 때맞춘 ‘순간’이었다 (4) | 2025.06.14 |
---|---|
“멘토를 찾아라”는 조언은 좋은데… (1) | 2025.06.14 |
하나가 멈추면 전부 멈추는 구조 - 인생에도 여유를 설계하라 (1) | 2025.06.14 |
완벽보다 지속 가능한 선택 – 적당히 합리적인 태도 (0) | 2025.06.14 |
Rich와 Wealth의 진짜 차이 – 보이는 돈 vs 보이지 않는 자유 (1) | 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