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적 문제해결 사고의 기본기

 

고민만 하지 말고, 문제로 바꿔라

“인생은 문제해결 과정의 연속이다.”
“고민은 10분만 해라. 그리고 그 고민을 문제로 변환해라.”
- '세이노의 가르침'

 

많은 사람들은 인생이 힘들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힘듦의 대부분은 ‘감정적인 고민’ 상태로 머물기 때문이다.

 

고민은 감정이다.
문제는 구조이다.

고민을 문제로 바꾸는 순간,
감정의 안개 속에서 해결의 지도가 보이기 시작한다.
이 글은 그 지도 그리는 방법,
즉, 생각의 구조를 세우는 문제해결 프레임워크들을 소개한다.

 

문제 정의 방법

“잘 정의된 문제는 반 이상 해결된 것이다.”

 

1) SMART 원칙

SMART 원칙은 목표 설정과 문제 정의를 보다 명확하고 실행 가능하게 만드는 프레임워크이다.
특히, 문제 해결 과정에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정의하려면 SMART 기준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SMART 원칙의 5가지 요소

요소 설명 예시 (잘못된 문제 정의 vs. SMART 문제 정의)
Specific
(구체적)
문제를 모호하지 않게 구체적으로 기술해야 한다. ❌ "생산성이 낮다."
✅ "지난 3개월간 생산량이 목표 대비 15% 부족하다."
Measurable
(측정 가능)
문제를 객관적인 수치나 데이터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 "고객 만족도가 낮다."
✅ "NPS(Net Promoter Score)가 10점 만점 중 평균 5점 이하이다."
Achievable
(달성 가능)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가 아니라, 실현 가능한 문제여야 한다. ❌ "경쟁사보다 2배 더 많이 팔아야 한다."
✅ "다음 분기 내 매출을 15% 증가시켜야 한다."
Relevant
(관련성)
문제 해결이 회사나 프로젝트 목표와 관련성이 있어야 한다. ❌ "사무실 환경을 바꾸겠다." (주요 목표와 무관)
✅ "직원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 공간을 최적화하겠다."
Time-bound
(기한 설정)
문제 해결의 기한이 명확해야 한다. ❌ "언젠가 생산성을 올려야 한다."
✅ "6개월 이내에 생산성을 15% 향상시키겠다."

 

SMART 원칙 적용의 중요성

  • 명확한 문제 정의: 모호한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움 →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해결이 쉬워짐
  • 우선순위 설정: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지, 관련성이 있는지 판단 가능
  • 효율적인 실행 계획 수립: 기한이 명확하면 실행 계획을 체계적으로 세울 수 있음
  • 성과 측정 가능: 문제 해결 여부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 가능

 

2) MECE – 겹치지 않게, 빠짐없이 쪼개라

MECE(미시,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는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에서 논리적으로 구조화된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원칙이다.
이 원칙은 중복 없이(Mutually Exclusive), 

빠짐없이(Collectively Exhaustive) 문제를 분류하고 해결하는 데 사용된다.

 

MECE 원칙의 2가지 핵심 요소

개념 설명 예시
Mutually Exclusive
(ME, 상호 배제적)
중복 없이 항목을 구분해야 한다. ❌ "기업 유형을 '스타트업, IT 기업, 대기업'으로 구분" (IT 기업이 스타트업이거나 대기업일 수도 있음 → 중복 발생)
✅ "기업 유형을 '스타트업, 중소기업, 대기업'으로 구분" (중복 없음)
Collectively Exhaustive (CE, 전체 포괄적) 빠짐없이 모든 가능성을 포함해야 한다. ❌ "교통수단을 '자동차, 기차'로 구분" (비행기, 배, 자전거 등 빠짐)
✅ "교통수단을 '육상(자동차, 기차, 자전거), 해상(배), 항공(비행기)'으로 구분" (모든 경우 포함)

 

참고) MECE vs. SMART 차이점

개념 MECE SMART
목적 논리적으로 분류하고 분석 명확한 목표 및 문제 정의
핵심 원칙 중복 없이, 빠짐없이 구체성, 측정 가능성, 실행 가능성 등
적용 분야 문제 해결, 데이터 분석, 경영 전략 목표 설정, 문제 정의
 

MECE와 SMART를 함께 활용하는 방법

  1. 문제 정의 단계에서 SMART 사용
    •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 "지난 3개월간 매출이 15% 감소하여, 이를 6개월 내 10% 회복하는 것이 목표" 
  2. 문제 분석 단계에서 MECE 사용
    • 매출 감소 원인을 분석할 때 → "내부 요인(제품 품질, 생산 문제), 외부 요인(경쟁 증가, 고객 이탈)" 로 구분 

 

3) 5 Whys - 진짜 원인은 깊은 곳에 있다

도요타에서 개발한 방법론이다.
문제를 반복해서 “왜?”라고 묻는 방식이다.

 

 

문제: 고객 이탈 증가

  1. 왜? → A/S가 느림
  2. 왜 느림? → 부품 공급 지연

왜 지연? → 재고 부족

  1. 왜? → 재고관리 체계 부재
  2. 왜? → 초기 설계에 서비스성 미고려

 

겉으로 보이는 문제 아래에는
근본 원인(Root Cause)이 있다.
그 뿌리를 잡아야, 진짜 해결이 시작된다.

 

4) 바바라 민토의 피라미드 - 생각을 구조로 정리하라

논리적 사고와 보고서 작성에 널리 쓰이는 방식이다.
생각을 결론부터 말하고, 근거와 세부사항으로 내려가는 구조이다.

 

 

"우리는 시장 점유율을 잃고 있습니다.
이유는 세 가지입니다.
첫째, 제품 경쟁력 부족.
둘째, 가격 정책 미비.
셋째, 유통 채널 약화."

 

 

복잡한 말을 줄이고
핵심을 먼저 전달하는 훈련이 된다.

 

5) 이슈 트리(Logic Tree) – 문제의 전체 지도를 그려라

문제를 시각적으로 구조화하면
전체 그림과 원인 간의 관계가 보인다.

 

 

예: “팀 성과 저조” 문제
├ 인적 요인
│ ├ 동기 부족
│ └ 역량 부족
└ 조직 요인
├ 리더십 문제
└ 업무 프로세스 비효율

 

 

복잡한 문제도 나눠보면
손으로 잡히는 형태가 된다.

'마인드 맵'을 활용해도 좋다.

 

6) Fishbone Diagram (Ishikawa, Cause-and-Effect Diagram)

복잡한 문제의 원인을 구조적으로 분석,

생선 뼈처럼 전개된다고 해서 일명 '어골도'라 불린다.

  • 주요 카테고리 (Man, Machine, Method, Material 등)로 원인 분류

마찬가지로 '마인드 맵'을 활용해도 좋다.

 

Issue vs Problem – '느낌'이 아니라 '구조'다

많은 사람들이 “문제가 있어요”라고 말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그건 이슈(상황)일 뿐이다.

  • 이슈: 현상, 증상, 느낌
  • 문제: 원인과 결과가 연결된 구조

 

“요즘 일이 잘 안 돼요”는 이슈
“목표 대비 생산성이 20% 부족하다”가 문제입니다

 

 

‘느낌’에서 ‘구조’로 바꾸는 순간
해결이 가능해진다.

 

생각은 감정이 아니라 기술이다

문제해결 능력은 타고나는 게 아니다.
구조적으로 사고하는 훈련의 결과이다.

고민을 구조화하고,
문제를 정의하고,
쪼개고,
진짜 원인을 찾고,
실행 가능한 대안을 만들어내는 것.

이게 바로 우리가 해야 할 생각의 기술이다.

 

 

“감정에서 구조로,
추상에서 실행으로.”

문제를 보는 눈이 바뀌면, 인생이 달라진다.

 

 

 

 

# 부록 - 문제 해결 절차 (Problem Solving Process)

 

1) 7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 

가장 기본적인 프레임이다.

  1. 문제 정의 (Define the Problem)
    • 문제가 정확히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한다.(SMART, MECE, ...)
    • 문제의 범위를 설정하고, 이해 관계자를 식별한다.
    •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해 5 Whys 기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2. 문제 분석 (Analyze the Problem)
    • 데이터를 수집하고,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한다.
    • 문제의 크기, 빈도, 영향을 파악한다.
    • 피시본 다이어그램(어골도, Fishbone Diagram) 또는 파레토 분석 등을 활용할 수 있다.
  3. 해결책 개발 (Generate Possible Solutions)
    • 다양한 해결책을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도출한다.
    • 기존의 해결 방법을 검토하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고려한다.
    •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SCAMPER 기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4. 최적의 해결책 선택 (Select the Best Solution)
    • 도출된 해결책 중 실행 가능한 최적의 대안을 선택한다.
    • 해결책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고 평가한다.
    • 비용, 시간, 효과, 리스크 등을 고려하여 최선의 방법을 선택한다.
  5. 해결책 실행 계획 수립 (Develop an Action Plan)
    •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 필요한 자원(인력, 예산, 기술)과 일정, 담당자를 정한다.
    • 실행 과정에서의 장애물을 예측하고 대책을 마련한다.
  6. 해결책 실행 (Implement the Solution)
    • 실제로 해결책을 실행하며, 계획에 따라 진행한다.
    • 필요한 경우 시범 운영(Pilot Test)을 통해 효과를 검증한다.
    •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대응한다.
  7. 결과 평가 및 지속적 개선 (Evaluate and Improve the Solution)
    • 해결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했는지 평가한다.
    •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거나 추가 개선이 필요한지 검토한다.
    • 해결 과정에서 배운 점을 정리하고, 향후 유사한 문제 발생 시 대비책을 마련한다.

7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 요약

단계 설명
1. 문제 정의 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
2. 문제 분석 원인 분석 및 데이터 수집
3. 해결책 개발 다양한 해결책 브레인스토밍
4. 최적의 해결책 선택 실행 가능한 최적의 대안 선택
5. 실행 계획 수립 구체적인 액션 플랜 작성
6. 해결책 실행 실행 및 문제 발생 시 대응
7. 결과 평가 및 개선 해결책의 효과 평가 및 지속적 개선

 

2) GM 5 PHASE 문제 해결 프로세스

GM에서는 품질 관리(Quality Management) 및 제조 공정 개선을 위해 5단계 문제 해결 프로세스를 적용한다.
이 방법은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초점을 맞춘다.

단계 설명 주요 기법
1. 문제 정의 (Problem Definition) 해결해야 할 문제를 명확히 정의 SMART, 5W1H
2. 원인 분석 (Root Cause Analysis)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 5 Why, Fishbone Diagram
3. 해결책 개발 (Solution Development)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찾음 Brainstorming, MECE
4. 실행 및 검증 (Implementation & Validation) 해결책을 실행하고 효과를 검증 Pilot Test, KPI 설정
5. 지속적 개선 (Continuous Improvement) 해결책이 지속적으로 효과적인지 평가 PDCA(Plan-Do-Check-Act)

 

3) IAROD 문제 해결 방식 개념

항목 설명 예시
I - Issue (문제 정의) 해결해야 할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 "생산 라인의 불량률 증가"
A - Action (조치 계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행 계획 "설비 점검 및 공정 최적화 진행"
R - Result (기대 결과) 조치 실행 후 기대되는 결과 "불량률을 5%에서 2% 이하로 감소"
O - Owner (책임자) 해당 조치를 수행할 담당자 "생산 공정 엔지니어 김팀장"
D - Due Date (기한 설정) 해결해야 하는 마감 기한 "3개월 내 개선 완료"

 

4) PDCA 사이클 (Plan - Do - Check - Act)

품질 개선, 경영관리, 프로젝트 반복 개선에 적합

  • Plan: 문제 인식 및 계획 수립
  • Do: 실행
  • Check: 점검
  • Act: 조치 및 표준화

 

5) DMAIC 방법론 (Six Sigma 문제 해결 방법)

데이터 기반 프로세스 개선에 특화됨

  • Define: 문제 정의
  • Measure: 현 상태 측정
  • Analyze: 원인 분석
  • Improve: 개선 방안 도출 및 실행
  • Control: 성과 유지 및 관리

 

6) SWOT 분석

전략적 문제 해결 및 방향 설정

  •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ats
  • 내/외부 환경 분석을 통해 전략 도출

 

이 밖에도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론은 있지만,

핵심내용은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고, 개선안 실행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