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gineer's PMP - 삶의 프로젝트

삶에도 리스크 매트릭스가 필요하다 – 개인 리스크 평가표 만들기

Jangineer 2025. 7. 4. 14:42

위험 평가(Risk Assessment)란?

잠재적인 위험을 식별하고,
그 심각성, 발생 가능성, 회피 가능성을 평가해,
우선순위를 정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 과정

 

ISO 등에서의 공식 절차

대부분의 국제 표준(예: ISO 12100, ISO 13849, ISO 26262, ISO 14971 등)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정의된다.

1) Hazard Identification (위험원 식별)

  • 무엇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가?
  • 기계적, 전기적, 열적, 환경적 위험 요인 목록화

2) Risk Estimation (위험 추정)

보통 아래 세 가지 요소를 기반으로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평가함:

요소 의미
Severity (S)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결과의 심각도
Probability/Occurrence (O) 위험이 실제 발생할 확률
Detectability or Avoidability (D/C) 위험을 감지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가능성
 

이 세 요소를 조합해 Risk Priority Number (RPN) 또는 Risk Level을 계산
예: RPN = S × O × D

3) Risk Evaluation (위험 평가 및 등급화)

  • 위험 수준을 등급으로 나누고
  • 수용 가능한 수준인지 판단

4) Risk Reduction (위험 저감)

  • 제거 가능하면 제거 (Inherently Safe Design)
  • 보호조치, 센서 감시, 경고 등 계층적 대응
  • 남는 위험(Residual Risk)은 명시하고 사용자에게 고지

 

다년간 건설기계를 개발하고 시험하며 살아왔다.
기계를 설계하면 반드시 위험 분석을 했다.
고장 가능성과 심각도를 평가하고, 회피 가능한지까지 계산한 뒤 RPN(Risk Priority Number)을 산출했다.
그 숫자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우선순위의 기준이자 생명선이었다.

 

그런데 문득,

“왜 내 인생에는 이런 리스크 평가표가 없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리스크는 제거 대상이 아니라 관리 대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리스크를 피하거나 두려워한다.
하지만 엔지니어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리스크는 인지하고, 분석하고, 통제하면 된다.
보지 못한 위험이 가장 위험할 뿐이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어떤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지 구조화하고,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한 우선순위와 계획을 세우면 삶은 한결 안정적으로 운영된다.

 

삶에 적용하면?

단계 질문 예시
Hazard 식별 내 삶에서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는가? 건강 악화, 관계 갈등, 수익 급감 등
위험 추정 얼마나 자주, 얼마나 심각하게 발생하는가? 운동 안 하면 5년 내 고혈압, 스트레스 누적 시 분노 폭발 가능성 등
회피 가능성 그 위험을 예측하거나 피할 수 있는가? 건강검진, 습관 교정, 감정 다이어리 등
대응책 수립 제거하거나 줄이거나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은? 루틴 개선, 시간 관리, 명상, 피드백 루프 설계 등
 

개인 리스크 평가표를 만들어봤다

나는 내 삶의 4대 영역인 건강, 재정, 감정/정신, 관계에 대해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평가표를 만들었다.

  • Severity (S): 그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결과의 심각도 (1~3)
  • Occurrence (O): 그 일이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 (1~3)
  • Controllability (C): 그 위험을 감지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가능성 (1~3)

그리고 이 세 항목을 곱해서 RPN = S × O × C를 계산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 리스크 평가표 (예시)  

순위  영역  위험요소 S O C RPN
1 건강 운동 부족 3 3 2 18
2 재정 소득 감소 3 3 2 18
3 재정 비상자금 부족 3 3 2 18
4 건강 수면 부족 3 2 2 12
5 감정/정신 스트레스 누적 2 3 2 12
6 감정/정신 자존감 저하 2 2 2 8
7 관계 배우자와 갈등 3 2 2 12
8 관계 자녀와 단절 2 2 2 8
9 감정/정신 목표 없음 2 2 3 12
10 건강 건강검진 미실시 2 2 1 4
11 관계 사회적 고립 2 2 2 8
12 재정 지출 통제 실패 2 2 2 8

 

상위 RPN을 보면 내가 지금 운동, 수면, 소득 안정, 스트레스 관리를 가장 우선적으로 챙겨야 함을 알 수 있다.

 

삶에도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런 분석은 단순한 재미로 끝나지 않는다.
삶을 기계처럼 다룬다는 게 아니라,
삶을 내 손으로 제어 가능한 구조로 만든다는 데에 핵심이 있다.

  • 내 삶의 주요 리스크는 무엇인가?
  • 가장 우선순위 높은 위험은 무엇인가?
  • 그것을 줄이기 위한 실천 계획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할 수 있다면
삶은 더 이상 우연과 감정에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설계 가능한 프로젝트가 된다.

 

나는 이제 기계만 검증하지 않는다.
이제는 나의 삶을 검증하고,
그 삶의 방향을 다시 확인하며 살아간다.

그게 바로 기술자의 방식으로
삶을 살아간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