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대니얼 골먼 '감성지능 EQ' 13: 감정 문맹이 부른 사회적 비용
Jangineer
2025. 6. 28. 16:32
“EQ는 개인의 성과뿐 아니라 사회의 안정과 질서에 직결된다.
감정을 못 읽고 못 다루는 사회는, 범죄와 중독, 폭력의 땅이 된다.”
감정 문맹이란?
- 문자 해독 능력처럼, 감정에도 해석 능력이 필요하다
- 감정 문맹이란 자신의 감정을 인지하지도, 표현하지도, 조절하지도 못하는 상태
- 특히 청소년 시기의 감정 문맹은 충동적 행동, 우울, 분노 폭발로 이어진다
EQ 부족이 부른 사회 병리 현상
1) 범죄와 폭력
- 감정 통제가 약한 사람일수록 분노를 공격으로 표출
- 특히 남성 청소년은 공감 능력이 낮을수록 폭력 가능성 증가
2) 약물 중독과 자살
- 감정 고통을 언어로 표현하지 못할수록 대체 행동(자해, 음주, 마약 등)에 의존
- 감정 조절 실패는 충동적 자해나 자살 시도로 나타난다
“그들은 죽고 싶었던 게 아니다. 감정을 다룰 줄 몰랐을 뿐이다.”
EQ는 ‘윤리’와 ‘도덕’의 실제적 기반
- 공감 능력이 낮은 사람은 타인의 고통을 감지하지 못한다 → 비윤리적 행동 증가
- EQ는 단순한 감정기술이 아니라 도덕 감각의 생물학적 기반
- 감정을 읽고 공감할 수 있을 때, 선한 행동의 동기가 생긴다
감정적 결핍이 가족·학교·직장에서 주는 비용
- 가족 내 갈등, 폭언, 학대
- 학교 내 따돌림, 왕따, 무관심
- 직장 내 괴롭힘, 감정적 방치, 번아웃
이런 문제들은 감정 역량이 결핍된 시스템이 빚어낸 구조적 폭력이다
사회 전체가 감성지능을 갖추어야 한다
- EQ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적 역량이자 문화적 수준이다
- 복지, 교육, 사법, 조직 문화, 언론 시스템 등 전반에 EQ가 내재되어야 한다
요약 정리
- 감정 문맹은 삶의 질뿐 아니라 사회 전체의 건강을 해치는 위험 요소
- EQ는 ‘착한 사람 되기’가 아니라 폭력과 불행을 예방하는 핵심 인프라
- 감정교육은 단지 개인의 성공을 넘어 사회안전망의 근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