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대니얼 골먼 '감성지능 EQ' 9: 감성지능과 초우량 기업
장지니어 (Jangineer)
2025. 6. 28. 12:26
핵심 메시지
“EQ는 조직문화와 성과의 보이지 않는 뿌리다.
초우량 기업은 기술이나 전략보다 사람과 감정의 힘을 먼저 다듬는다.”
초우량 기업의 특징은 EQ 기반의 문화
- 성과 좋은 조직은 공통적으로 감정이 건강한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다.
- 구성원 간에 신뢰, 소통, 공감, 자율성, 피드백이 잘 작동한다.
- 반대로 EQ가 낮은 조직은 갈등, 무기력, 책임 회피, 불안정한 분위기를 보인다.
“IQ보다 EQ가 성과를 결정한다”
- 연구 결과, 직장에서의 성공은 IQ가 아니라 EQ가 더 큰 영향력을 미친다.
- 골먼은 200개 이상 기업의 리더십 평가에서 탁월한 리더들은 공통적으로 EQ가 높았다고 보고함.
핵심 EQ 역량
- 자기인식: 리더가 자기 감정을 인지하지 못하면 독단적이 됨
- 자기조절: 감정적 폭발은 팀워크를 해친다
- 공감: 구성원의 고충과 분위기를 파악하지 못하면 충성도는 떨어진다
- 사회적 기술: 팀 내 소통, 조율, 갈등관리, 협력 능력의 핵심
감정 리더십이 만드는 조직 변화
- 감정이 전염된다 → 리더의 감정이 조직 전체의 분위기를 지배함
- 감정적 안정감이 높은 리더는 위기 상황에서 침착함과 희망을 전파함
- 직원들은 감정적으로 존중받는 환경에서 더 창의적이고 몰입하게 된다
EQ가 높은 기업의 실제 사례
- 골먼은 GE, 애플, 사우스웨스트항공 등의 사례를 분석하며 다음과 같은 패턴을 언급한다:
- 리더는 감정 피드백을 중요하게 여긴다
- 사내 커뮤니케이션은 사람 중심, 관계 중심
- 실수나 실패에 대해 감정적 안정감 속에서 회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
감성지능을 조직에 적용하는 방법
- 리더십 평가 항목에 EQ를 포함한다
- 승진·보상 기준에 관계적 역량, 감정관리 능력을 포함시킨다
- 정기적으로 감정 피드백, 공감 훈련, 갈등 해결 워크숍 등 EQ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요약 정리
- 초우량 기업은 EQ를 전략적으로 경영에 반영하고 있다
- 리더의 감정은 조직 전체의 에너지에 영향을 미친다
- EQ는 ‘좋은 사람 되자’가 아니라 조직성과의 핵심 역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