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감성지능 EQ' vs '생각에 관한 생각' - 감정과 이성, 뇌와 마음의 이해를 위한 두 고전의 교차점

장지니어 (Jangineer) 2025. 6. 24. 12:15

지금까지 정리한 대니얼 골먼 '감성지능 EQ' 1~7 을 Part 1: 감성의 과학과 실천으로 묶고,
대니얼 카너만 '생각에 관한 생각'과 비교 통합 정리한다.

 

1. 책의 관점과 목적  

구분 감성지능 (EQ) – 대니얼 골먼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 – 대니얼 카너먼
목적 감정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해 → 훈련과 실천 중심 인간의 의사결정 오류를 분석 → 이성적 주의 환기 중심
관점 감정은 제거 대상이 아니라 활용과 조절 대상 인간은 본능적으로 비합리적이므로 인지 오류를 인식해야
강조점 왜 인간은 감정적으로 반응하는가 +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가 우리는 얼마나 자주 실수하는가 + 그 패턴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이성과 감정의 구조적 접근

구분 감성지능 생각에 관한 생각
뇌의 구조 편도체(감정 뇌) vs 전전두엽(이성 뇌) 시스템 1(직관·자동) vs 시스템 2(논리·의식)
비유 뇌의 감정 회로와 이성 회로를 해부학적, 심리학적 연계로 설명 두 시스템을 행동경제학적 모델로 설명
설명 방식 감정이 뇌 구조상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는가 → 실전적 뇌 활용법 시스템 1의 자동성에 의한 오류와 착각 중심의 사례 분석

 

3. 핵심 메시지 요약 

구분 감성지능 생각에 관한 생각
기본 전제 감정은 반드시 훈련되어야 하며, 잘 다룰 수 있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오류를 범하므로 항상 의심해야 한다
해결 방향 자기인식 → 조절 → 공감 → 관계 기술 → 리더십 인지편향과 오류 인식 → 시스템 2 자각 → 판단 보완
실천성 감정 훈련은 개인 변화와 리더십의 핵심 오류를 인식하는 것 자체가 실천이며 예방이다

 

4. 공통점

  • 둘 다 인간 행동의 ‘비합리성’을 다룬다.
  • 직관과 자동 반응(시스템 1 / 감정 뇌)이 대부분의 삶을 지배한다고 본다.
  • 이성은 느리고 힘들지만, 궁극적으로 중요한 판단을 담당한다.
  • 결국은 자기인식과 성찰이 유일한 개선 방법임을 강조한다.

 

5. 결정적 차이  

항목 감성지능 생각에 관한 생각
인간에 대한 태도 변화 가능성에 무게 → ‘훈련’을 통한 성장 강조 인간은 고칠 수 없음을 전제로 → ‘이해’와 ‘경계’ 강조
언어 실천적, 대화체, 심리학+뇌과학 중심 학문적, 논증적, 경제학+인지심리 중심
독자층 실천과 성장에 관심 있는 리더/일반 독자 인지심리, 경제, 의사결정에 관심 있는 학문적 독자
전개 방식 5요소 중심 실천모델 수많은 인지편향 실험과 사례 중심의 설명

 

6. 고전 철학과의 만남

  • EQ는 유가의 ‘수기치인(修己治人)’, 정심·수신·제가의 현대적 과학적 모델이다. 
  • System 1·2 이론은 장자·노자처럼 자동성의 함정과 무위(無爲)의 지혜를 상기시킨다.

결국 둘 다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의식의 개입’을 강조하며,
이는 철학, 심리학, 뇌과학, 경제학의 경계를 넘는 현대판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서사라고도 볼 수 있다.

 

“감정은 다스려야 하고, 직관은 의심해야 한다.
그러나 그 둘 모두 인간의 일부이므로, 훈련과 성찰로 더 나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