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gineer's PMP - 삶의 프로젝트

Gray zone(회색지대)를 두 종류로 나눠야 조직이 산다

Jangineer 2025. 6. 14. 23:39

JAM™ Gray Zone 유형 분류 & 동기 vs 비용 매트릭스

 

1. 왜 ‘회색지대’는 두 종류로 갈라야 하는가?

  1. Core-Adjacent Gray
    주업무와 맞닿아 있고, 잘 해내면 전문성·리더십이 자란다.
  2. Non-Core Gray
    주업무와 무관하거나 잡무에 가깝다. 시간·에너지만 소모된다.

둘을 섞어 두면 유능하고 책임감 있는 사람이 가장 먼저 지친다.
결국 핵심 인력이 소진되면서 조직 전체 생산성이 무너진다.

 

2. JAM™ Gray Zone 유형 분류 체계

유형 정의 예시 권장 대응
Core-Related Gray 코어 업무와 경계가 맞닿은 확장 PM이 고객 미팅 일정까지 총괄해 신뢰 확보 주도(A)로 수용· “네가 맡아야 속도가 난다.”· 완료 후 프로세스/매뉴얼화
Peripheral Gray 코어와 간접 연관, 일시적 필요 R&D가 긴급 클레임 콜백 응대 임시 R, 즉시 이관· 담당 부서에 루트·SOP 구축
None-Core Gray 코어와 완전 무관, 소진성 반복 개발자가 회식 일정·보고서 템플릿까지 총괄 위임·아웃소싱· “돈/리소스로 해결할 일”
Accumulating Gray 잡무가 계속 쌓여 핵심 KPI 침식 팀장이 장비 예약·하소연 창구까지 떠맡음 권한 위임 + 거절 스크립트 고정

 

3. 동기 vs 비용 매트릭스

  내적 동기자로 해결 외적 비용(자원)으로 해결
Core-Related
(성장·리더십 기회)
✔ 최적· 기여·자율·성장 욕구 자극· 사명감 부여 → 속도·품질 ↑ △ 가능은 하지만 낭비· 외부 인력은 맥락·역사 부족
Non-Core
(소진·반복 잡무)
✘ 낭비·소진· 핵심 인력 시간 잠식 ✔ 최적· 아웃소싱·자동화·전담 지원팀· 비용 < 핵심 인력 기회비용

 

원칙

  • Core Gray → 존중과 의미(고귀한 욕구)
  • Non-Core Gray → 돈·시간·툴(비용)
    둘을 뒤섞으면 가장 소중한 사람이 가장 빨리 지친다.

 

4. 실전 적용 체크리스트 

  • 이 일은 내/팀의 핵심 KPI에 직접 연결되는가? → 예 = Core, 아니오 = Non-Core
  • 이걸 내가 하면 전문성과 신뢰가 자라는가? → 예 = Core-Related
  •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 시스템화가 필요한가? → 예 = SOP, 프로세스 귀속
  • 맡을 인력이 없으면 외부 자원(돈/툴)으로 대체 가능한가? → 예 = Non-Core, 즉시 비용 해결
  • 고귀한 욕구(기여·자율·성장·소속)를 자극해도 움직이지 않는가? → 아니오 = 비용 투입

 

5. 리더를 위한 대사 두 줄

 

Core Gray 설득

“이건 네 기술과 판단이 없으면 팀 전체가 멈춥니다. 방식은 전적으로 네가 정하세요.”

 

Non-Core Gray 거절/위임

“이 일은 기능 지원 성격이라 전담팀·툴로 전환하겠습니다. 리소스 요청 올리겠습니다.”

 

6. 기억할 한 문장

“Core gray는 존중과 의미로,
Non-core gray는 비용과 시스템으로.”

 

이 경계가 선명해질 때
– 회색지대는 기회가 되고,
– 잡무의 늪은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