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구조와 문제해결 - 관리,통제
생각에 관한 생각 2: 게으른 시스템 2
장지니어 (Jangineer)
2025. 4. 30. 14:54
핵심 요약
- 시스템 2는 게으르다.
인간의 두뇌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 되도록 시스템 2를 작동하지 않으려는 성향을 가진다.
즉, 직관(시스템 1)으로 대충 결론을 내리고, 논리적 분석(시스템 2)은 정당화에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시스템 2는 주의력과 노력이 필요해 쉽게 지치고 방해 요소에 취약하다.
예를 들어 배가 고프거나 피곤할 때는 시스템 2가 작동하기 어려워진다.
실험 예시:
카너만이 소개한 유명한 실험이 있다.
어떤 간단한 수학 문제를 제시합니다:
“야구 방망이와 공을 합쳐 1.10달러이다. 방망이는 공보다 1달러 더 비싸다. 공은 얼마인가?”
많은 사람이 “0.10달러”라고 직관적으로 대답한다.
하지만 이건 시스템 1의 착각이고,
정답은 0.05달러이다. (방망이 1.05 + 공 0.05 = 1.10)
이처럼 시스템 2가 게으르면, 우리는 착각을 의심 없이 받아들이고 오류를 범하게 된다.
핵심 메시지
- 게으른 시스템 2는 시스템 1의 착각을 바로잡지 못한다.
- 집중, 훈련, 자기 인식 없이는 시스템 2는 쉽게 무너진다.
- 시스템 2가 항상 "감시자" 역할을 해야 직관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질문
- 나는 일상에서 몇 번이나 시스템 1의 착각을 그냥 넘기고 있는가?
- 내가 '맞다'고 믿고 있는 생각들 중, 사실은 게으른 판단에서 나온 건 없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