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gineer's PMP - 삶의 프로젝트

손자병법 기반 PM의 품격 4

Jangineer 2025. 4. 16. 07:54

사람은 공간에 따라 움직인다 (구지편: 九地篇)

“장수는 지형을 따라 부대를 운용하되,
병사의 정신은 공간의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 손자, 구지편

 

핵심 개념 요약

  • 손자는 9가지 전장(地形) 구분을 통해
    “지형이 병사의 심리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설명한다.
  • 중요한 건 지형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지형에서 병사가 어떤 심리를 갖게 되는가이다.

→ PM에게는

“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팀원은 달라진다. 따라서 리더십도 달라져야 한다.”

 

손자병법 9가지 지형 vs PM의 환경

손자의 9지 PM 관점 예시
산지(散地) – 쉽게 흩어짐 팀워크 약한 구성, 다중 과업 병행
경지(輕地) – 적의 경계선 경쟁사의 영역과 맞닿은 프로젝트
쟁지(爭地) – 이득 있는 곳 성과 압박이 큰 사업부/핵심 계정
교지(交地) – 서로 왕래 가능 협업 필수, 외부 이해관계자 다수
중지(重地) – 깊숙이 들어간 곳 중요한 고객사, 고위층 직속과제
난지(難地) – 접근 어려움 신규 기술, 규제 많은 영역
포지(圮地) – 고립된 곳 외부지원 없이 단독 운영 상황
사지(死地) – 도망칠 수 없음 실패 시 조직 차원의 중책 과제
형지(圍地) – 포위된 곳 이해관계자 압박, 실패 시 비난 집중

 

실전 메시지:

손자 曰

“사람은 ‘사지(死地)’에 놓이면 싸운다.
도망칠 곳이 있으면 도망친다.”

 

→ PM도 이를 알아야 한다.
위기감을 설계해야 몰입이 발생한다.
→ 때로는 적절한 “배수진”이 성과를 만든다.

 

품격 있는 PM의 태도

  1. 팀원은 ‘논리’보다 ‘맥락’에 반응한다
    → 일의 의미, 상황의 절박함, 기회의 크기를 공간처럼 ‘설계’하라
  2. 프로젝트의 공간이 ‘안전지대’면 몰입은 생기지 않는다
    → 도망칠 구멍이 있는 팀은 절대 전력을 다하지 않는다
  3. 때로는 리더가 ‘사지’를 만들어야 한다
    → 단, 그 전에 신뢰와 안전망을 먼저 깔아둬야 한다

 

질문:

  • 지금 내 팀은 ‘사지’인가, ‘안락지대’인가?
  • 내가 지금까지 강조한 건 ‘논리’였는가, ‘맥락’이었는가?
  • 이 팀이 몰입하게 만들 수 있는 환경적 장치는 무엇인가?

 

“사람은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 리더는 그 공간을 설계하는 자다.”